하늘..달..별...

무한의 개수

The Dreaming 2010. 3. 8. 12:38
1. 두 집합의 원소의 개수(기수)가 같다는 것은 두 집합 사이에 ‘일대일 대응’이 존재할 때를말한다.
2. 집합 A가 B에 포함된다고 해서, A의 원소 개수가 B의 원소 개수보다 작다는 결론을 내릴 수 없다.

   무한집합에서는 ‘부분과 전체의 개수가 같을 수 있다’.
3. 짝수의 집합, 자연수의 집합, 정수의 집합, 유리수의 집합은 갈수록 집합이 커지지만, 모두 기수는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