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고 땅...땅 속....더 깊은 곳.

보석....가장 아름다운 자연의 빛....

The Dreaming 2011. 9. 19. 13:42

보석은 빛깔과 광택이 아름다워 장식물로 이용하는 광물로, 견고하며 산출량이 적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현재 지구상에는 4,000개 이상의 광물들이 알려져 있는데 이중 50여종만이 보석으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보석은 질과 크기에 의해 가격이 매겨진다. 보석은 캐럿(Carat; ct)을 무게단위로 쓰는데, 1캐럿은 0.2g이다. 이 글에서는 사람이 애용하는 주요 보석들을 알아보도록 하자.

 

 

자수정(Amethyst)


자수정은 지각에서 가장 흔한 광물인 석영(수정, SiO2)에 철이나 알루미늄 같은 불순물이 포함되어, 보라색부터 적자색까지의 색깔을 내는 결정질 석영이다. 짙은 자색을 띈 적색에서부터 적자색까지의 색깔을 내는 자수정이 가장 이상적인 자수정으로 알려져 있다. 모스 경도는 7이며 비중은 2.56~2.66이다. 자수정은 세계 곳곳에서 발견되며, 시베리아 자수정이 최고로 여겨지지만 지금은 더 이상 산출되지 않는다. 현재는 주로 브라질, 우루과이, 잠비아, 멕시코, 러시아 등지에서 많이 산출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울산광역시 언양 자수정이 널리 알려져 있다.

 

자수정 원석. <출처: (cc) JJ Harrison(http://www.noodlesnacks.com)>

가공한 자수정. <출처: Gettyimage>

 

 

루비(Ruby)


루비는 크롬(Cr)이 포함되어 붉은색을 띠는 광물로, 보석 중의 보석으로 일컬어지며 널리 사랑받고 있다. 루비는 강옥(Al2O3; Corundum)에 속하는 보석으로, 비중은 3.9~4.1이며, 모스 경도는 9로 다이아몬드 다음으로 단단하다. 기원전 600년부터 스리랑카에서 채굴되었으며, 현재는 태국, 미얀마, 케냐 등지에서 산출된다. 영국 자연사박물관에 있는 167캐럿의 에드워드 루비, 미국 스미소니언 자연사박물관에 있는 138.7캐럿의 로저리브스 스타루비(The Rosser Reeves Ruby), 뉴욕 자연사박물관에 있는 100캐럿의 드롱 스타루비(DeLong Star Ruby) 등이 유명하다.

 

루비 원석. <출처: (cc) StrangerThanKindness at wikimedia.org>

가공한 루비. <출처: Gettyimage>

 

 

사파이어(Sapphire)


사파이어는 철 또는 티타늄이 포함되어 파란색을 띠는, 강옥에 속하는 보석으로, 모스 경도는 9이다. 중세 이후 붉은색의 루비를 제외한 모든 강옥에 속하는 보석은 사파이어로 알려져 왔으나 현재는 파란색 보석만 사파이어로 부른다. 기원전 7세기경에 최초로 알려져, 초기에는 스리랑카, 인도에서 채굴되었는데, 현재는 호주, 태국, 마다가스카르, 동 아프리카, 북미 등 전 세계에서 생산되고 있다.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큰 사파이어는 현재 링컨 대통령의 흉상 머리 부분에 조각되어 있는 1,318캐럿의 사파이어이다. 1935년 호주에서 발견됐는데, 발견당시 무게는 2,302캐럿이었으나 가공에 의해 무게가 줄었다.

 

사파이어 원석. <출처: (cc) Kluka at wikipedia>

가공한 사파이어. <출처: Gettyimage>

 

 

에메랄드(Emerald)


에메랄드는 녹주석(Beryl; Be3Al2Si6O18)의 일종으로, 모스 경도는 7.5~8이며, 비중은 2.6~2.8이다. 녹주석에 크롬 또는 바나듐(V)이 포함되어 녹색을 띠면 에메랄드로, 철이 포함되어 남청빛을 띠면 아콰마린(아쿠아마린, Aquamarine)으로 불린다. 콜롬비아 코르딜레라 산에 있는 무죠(Muzo) 광산과 치보르(Chivor) 광산은 세계적인 에메랄드 산지이다. 브라질, 잠비아, 러시아 등지에서도 산출된다.

 

에메랄드 원석. <출처: (cc) Mmlynczak at wikimedia.org>

미국 국립자연사박물관에서 전시하는 후커 에메랄드 브로치. <출처: (cc) dbking at flickr.com>

 

 

석류석(Garnet)


석류석[X3Y2Si3O4(X=Ca, Fe, Mg, Mn; Y=Al, Fe, Ti, Cr)]은 청동기시대부터 보석으로 사용된 광물로, 광물의 원자구조에 들어가 있는 원소에 따라 적색, 녹색, 검정색, 핑크색 또는 무색 등 다양한 색으로 산출된다. 모스경도계의 굳기는 6.5~7.5 사이이며, 비중은 3.1~4.3이다. 석류석은 다양한 종류의 암석에서 산출되며, 그중 특히 높은 변성을 받은 편암, 편마암, 그리고 이 암석들이 풍화되어 운반된 후 퇴적된 사광상에서 많이 산출된다. 석류석은 미국, 인도, 호주 등에서 주로 산출되는데, 1960년대부터 연마제나 베어링 등의 산업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인공 석류석이 만들어졌다.

 

석류석 원석.

가공된 석류석. <출처: Gettyimage>

 

 

터키석(Turquoise)


터키석[CuAl6(PO4)4(OH)8, · 4H2O]은 옅은 청록색을 띠는 인산염광물이다. 구리의 함량에 따라 하늘색부터 녹색을 띤 파랑색까지 여러 가지 색깔을 나타낸다. 모스 경도는 4~6이며 비중은 2.6~2.8로, 예로부터 이집트, 페르시아, 티베트, 몽골 등지에서 가장 귀한 돌로 여겨졌다. 현재는 멕시코, 이란, 미국, 중국 등지에서 산출된다.

 

터키석.

페리도트.

 

 

탄생석


탄생석은 1월부터 12월까지 사람이 태어난 달과 보석을 연관 지은 것으로, 태어난 달에 해당하는 보석을 몸에 지니면 행운이 따른다고 알려져 있다. 탄생석은 오랫동안 초자연적인 힘이 있다고 알려져 왔으며 사람의 운명을 점치는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세월에 따라 보석에 대한 가치와 평가가 달라지면서 새로운 보석이 탄생석으로 추가되기도 하였다. 현대에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탄생석과 그 의미를 알아보면, 1월의 탄생석은 석류석이며 사랑과 진실의 의미를, 2월의 탄생석은 자수정으로 성실과 평화의 의미를, 3월의 탄생석은 아콰마린으로 용기와 총명을, 4월의 탄생석은 다이아몬드로 영원한 사랑과 행복의 의미를, 5월의 탄생석은 에메랄드로 청순과 행운의 의미를, 6월의 탄생석은 진주로 장부의 권위와 건강을, 7월의 탄생석은 루비로 애정과 영원한 생명을, 8월의 탄생석인 페리도트는 행복한 결혼과 지혜의 의미를, 9월의 탄생석인 사파이어는 덕망과 자애의 의미를, 10월의 탄생석인 오팔은 희망과 안락의 의미를, 11월의 탄생석인 황옥은 충실과 우정을, 그리고 12월의 탄생석인 터키석은 부와 성공의 의미를 갖는다. 진주는 광물은 아니나 보통 보석에 포함한다.

 

 

결혼기념석


결혼 기념주년과 보석을 연관 지은 것이다. 결혼 2주년은 석류석, 20주년은 에메랄드, 30주년은 진주, 40주년은 루비, 45주년은 사파이어, 그리고 결혼 60주년은 다이아몬드이다.

 

 

 

 김동희 / 국립중앙과학관 연구사
충북대학교 과학교육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지질과학과에서 이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오클라호마대학 자연사박물관과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했으며 지금은 국립중앙과학관 연구사로 일하고 있다. 저·역서로는 [공룡화석은 왜 우리나라에서 많이 발견될까요], [지구], [지구시스템의 이해]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