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혼이 질 때 깨어나 활동하는 쿠거(Puma concolor)는
잠행이 주특기로 어둠 속에서 먹이를 사냥하며 살아갑니다.
포식자, 쿠거는 북미지역 사람들이 퓨마를 가리키는 이름으로,
이외에도 마운틴 라이언, 펜서라고도 불립니다.
쿠거는 멸종위기에 놓인 대형 고양잇과 동물 중 하나로,
이중에서도 가장 비밀스러운 습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눈에 잘 띄지 않을뿐더러 경계심도 매우 강합니다.
자신에 관한 모든 것을 보여주지 않으려고 먹이를 묻거나 숨기고 배설물도 땅에 묻습니다.
이렇게 비밀스러운 쿠거는 연구하기가 매우 어려운 동물입니다.
이들을 보호하기 위해 쿠거를 연구하고 있는 과학자들이
지금까지 어렵게 밝혀낸 쿠거의 세계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 |

멸종위기에 놓인 대형 고양잇과 동물 중 하나인 쿠거의 신비로움.
기회를 포착하는 사냥꾼

밝은 달빛 아래 쿠거가 모습을 드러냅니다. 이들은 순간의 기회를 포착하는 뛰어난 사냥꾼으로 근육과 힘줄의 무게가 45킬로그램이나 나갑니다. 또한 험난한 지형을 하룻밤에 16~24km씩 아주 쉽게 이동하고, 다람쥐, 고슴도치 등 가리지 않고 잡아먹습니다. 쿠거는 마치 대낮처럼 미행을 시작합니다. 야간 시력이 뛰어난 쿠거는 동공을 크게 확장해 더 많은 빛을 흡수하고 눈 뒤에 있는 반사 세포로 빛을 다시 반사하여 사물을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야간 시력이 사람보다 무려 6배나 좋습니다. 또한 대형 육식동물 중 가장 뛰어난 거리 감각을 자랑하기에 쿠거는 야간 사냥에서 항상 우위를 차지합니다. 목표로 삼은 먹잇감은 아무것도 눈치채지 못한 상태이고 아직 45미터 정도 떨어져 있습니다. 달빛 아래서 쿠거는 움직였다 멈추기를 반복하며 앞을 조심스럽게 내딛고 뒷발은 앞발을 따라 딛는데 이를 ‘그림자 걸음’이라고 합니다.
|
|
|
거리가 18미터까지 좁혀지자 사슴은 뭔가 잘못됐음을 감지합니다.
그 순간, 쿠거는 폭발적인 힘을 내며 최고 속도로 달려 대여섯 걸음 만에
사슴을 따라잡아서 날카로운 앞발톱으로 사슴의 등을 찍어 누릅니다.
그후 강력한 턱을 이용해 사슴의 목을 물고 날카로운 송곳니로 척추를 찍어 눌러 분리하면
순식간에 사냥이 끝납니다.
이제 맛있는 식사시간만 남았습니다. | |
|
|
쿠거식 식사법

연구팀의 원격 조종 카메라로 쿠거가 신선한 먹이를 빠르게 먹어 치우는 모습이 생생하게 포착되었습니다. 이 쿠거는 가장 영양이 풍부하고 소화가 쉬운 부분인 간과 심장부터 먹고 그 다음에 흉곽에 찬 피를 마시기 시작합니다. 고단백 식사를 하는 육식동물은 먹이 외에도 수분을 섭취해야 하는데 피는 80% 이상이 수분이기 때문에 이렇게 피를 마시면 필요한 수분을 섭취할 수 있습니다. 발톱으로 흉곽을 분해하기 전에 쿠거는 다음 먹을 부분의 털을 뜯어냅니다. 쿠거의 짧은 소화관은 소화가 쉬운 장기와 살을 빠르게 먹을 수 있는 구조라서 털과 가죽은 먹지 않습니다. 이들은 털을 깔끔히 뽑기 위해 거대한 송곳니 사이의 톱니 같은 앞니를 사용합니다. 쿠거의 이빨은 먹이를 집어삼키기에 효과적인 구조입니다. 얼굴과 입은 비교적 짧지만 거대한 송곳니는 턱의 기둥과 가까워 먹이를 물고 분해하는데 더 많은 힘을 쓸 수 있습니다. | |
턱의 뒤쪽에는 날카로운 앞뒤 어금니가 있어 고기를 작게 자르고 뼈를 쉽게 분해하도록 돕습니다. 이 어금니로 먹이를 먹으려고 얼굴을 옆으로 돌리기도 합니다. | |

쿠거는 동공을 크게 확장해 많은 빛을 흡수하고 눈 뒤에 있는 반사 세포로 빛을 다시 반사하여 사물을 확대해 볼 수 있어, 야간 시력이 사람보다 무려 6배나 좋다. |

쿠거는 얼굴과 입이 비교적 짧지만 거대한 송곳니는 턱의 기둥과 가까워 먹이를 물고 분해하는데 더 많은 힘을 쓸 수 있다. |
|
|
쿠거의 대화

넓은 영역에 분포하는 외로운 쿠거들은 서로 의사소통하는 교묘한 방법을 개발했습니다. 나무에 발톱 자국으로 동료에게 시각적, 후각적 단서를 남기고 나무나 바위에 향선을 비벼 냄새가 오래 남아 있도록 합니다. 이동 경로에 따라 먹이에 남기는 배설물은 자신에 대한 가장 많은 정보를 담고 있으며 사회적 지위와 짝짓기 여부도 알 수 있습니다.
쿠거가 나무를 긁고 간 흔적은 여러 가지 정보를 전합니다. 우선, 쿠거는 자신들의 영역 내에서 표시를 남기면서 이곳은 자기의 영역이라고 알립니다. 또한 암컷이 번식기라면 번식기에 있는 자신의 위치를 알리는 한 방법입니다. 반대로 수컷은 발정기가 된 암컷에게 자신을 알리기도 합니다. 이는 쿠거의 행동방식 중의 하나로 쿠거들은 이런 체취를 통해 각 개체에 대해 많은 것을 알 수 있는데 서로에 대해 무슨 일이 있는지 누가 어디서 무엇을 하는지 등 쿠거 개체군 전체의 활동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 |
지금까지 우리는 쿠거의 비밀스러운 습성을 알아보았습니다. 그러나 이는 쿠거를 관찰하고 연구해온 과학자들이 어렵게 밝혀낸 것들입니다. 지금도 그들은 멸종위기에 처한 쿠거를 보호하고자 연구에 힘쓰고 있습니다. | |
|
|
쿠거 연구

사냥개는 쿠거를 수색하는 데 가장 빠르고 안전한 방법으로 개들이 짖는 소리에 쿠거는 본능적으로 나무 위로 오르게 됩니다. 그러나 쿠거 포획 작업은 그 결과를 전혀 예측할 수 없습니다. 몰이에 실패하기도 하고, 마취용 화살이 빗맞기도 합니다. 연구원들은 사냥개들로 쿠거를 몰아 나무 위로 올라가게 만들면 마취용 화살을 준비합니다. 이를 쏘아 쿠거를 마취시킨 후, 마취 상태가 지속되는 45분간 연구원들은 쿠거의 길이와 무게를 측정하고 목에 발신기가 달린 목줄을 채웁니다. 또한 쿠거의 안전을 위해 활력 징후 즉 심장 박동 수, 호흡, 체온 등을 측정합니다. 쿠거의 목에 달린 무선 발신 장치는 쿠거의 위치를 추적하는 데 쓰입니다. 이는 쿠거의 위치를 추적하는 유일한 수단으로, 이 장치를 이용해 과학자들은 쿠거의 굴과 비밀스러운 습성을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이 정보들은 쿠거의 보존과 관리에 매우 큰 도움이 됩니다. | |
연구원들은 가장 효과적이면서도 안전한 기술을 개발해서 연구를 진행합니다. 이들의 이런 노력들이 서식지 파괴와 무분별한 밀렵을 행하는 인간들의 반성과 합쳐진다면 ‘멸종’이라는 비극적인 결말은 오지 않을 것입니다. | |

멸종 위기에 처한 쿠거의 보존과 관리를 위해 많은 사람들이 노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