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그리스 사람들은 숫자 6이 자신을 제외한 약수들의 합 (6=1+2+3)으로 표시됨을 알아차리고 이것이야말로 완전한 수의 형태라고 생각했다. 피타고라스학파는 자신을 제외한 양의 약수들의 합으로 표현되는 양의 정수를 ‘완전수 (Perfect number)
완전수, 자신을 제외한 양의 약수의 합으로 표현되는 양의 정수 이러한 성질을 갖는 6 다음의 수는 28인데, 28도 자신을 제외한 약수들의 합 1+2+4+7+14이 된다. 기원전에 이미 아래 4개의 완전수(p1~p4)가 발견되었다.
1950년대가 될 때까지 수학자들은 위의 4개를 포함하여 단지 12개의 완전수만을 찾아낼 수 있었다. 완전수는 지난 수 세기 동안 어떠한 응용이나 실제적인 목적을 위해서가 아니라 사람들의 흥미를 위해 연구되었고 그만큼 재미있는 일화가 많다. 철학자들은 완전수를 수학의 대상으로서가 아니라 윤리나 종교적 관점에서 바라보았다. 로마 사람들은 6을 비너스(Venus)와 결부시켰는데, 6은 2와 3의 곱셈으로서 두 성별(2는 여성, 3은 남성)의 결합을 나타낸다고 생각했다.
8세기 영국의 신학자 Alcuin은 노아의 방주를 타고 있었던 8명의 후손인 사람들은 숫자 8이 6보다 덜 완전한 것이기 때문에 불완전하다고 말했다. 12세기의 율법학자 Ankin은 ‘영혼 치유’의 프로그램으로서 완전수를 공부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완전수는 그 신비로운 해석으로 말미암아 오히려 더 신비해진 것은 아닐까?
완전수의 추적은 계속된다 |
|
|
|
|
|
|
- 완전수(perfect number)
자신을 제외한 양의 약수의 합으로 표현되는 양의 정수이다. 6, 28, 496, 8128 등의 여러 짝수 완전수가 발견되었다. 홀수 완전수의 존재 여부는 수학의 유명한 미해결 문제 중 하나이다.
'하늘..달..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조와 파괴....블랙홀..2.. (0) | 2010.05.19 |
---|---|
창조와 파괴....블랙홀..1.. (0) | 2010.05.19 |
별만큼 많은 은하....4... (0) | 2010.04.25 |
별만큼 많은 은하....4... (0) | 2010.04.25 |
별만큼 많은 은하...3.. (0) | 2010.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