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달..별...

궁수 자리....은하계의 중심........

The Dreaming 2011. 12. 13. 09:38

 

 

궁수 자리의 활시위 부분은 주전자 모양을 닮아 ‘주전자 성군’이라 불리기도 한다. <출처: (CC)Scott Roy Atwood at Wikipedia.org>

 

 

궁수 자리 : 헤라클레스, 아킬레우스를 낳은 반인반마의 스승, 케이론

궁수 자리.


상반신이 사람이고 하반신이 말인 반수신인 켄타우로스는 활을 가지고 야산을 돌아다니는 거칠고 야만적인 종족인데, 그 중 유독 케이론만은 달랐다. 그는 원래 거인인 타이탄 족 가운데서 가장 강했던 크로노스님프 사이에서 태어난 반신이었는데, 크로노스 아내로부터의 복수를 두려워하여 스스로 반인반마가 되었다고 한다. 그는 기품이 있고 착하고 현명하여, 아폴론아르테미스로부터 음악과 의술, 수렵 예언술을 전수받은 후 페리온 산의 동굴에 살면서 이러한 기능을 그리스의 신들과 영웅들에게 가르쳤다. 헤라클레스는 그에게서 천문학을 배우고, 트로이 전쟁의 영웅 아킬레우스는 케이론에게 무술을 배웠다고 한다.

 

한번은 헤라클레스가 반인반마인 켄타우로스와 싸우다가, 그가 쏜 히드라의 독이 묻은 화살이 잘못하여 케이론의 발에 맞았다.

 

케이론은 고통스러웠으나 불사신이었기 때문에 죽을 수 가 없어 프로메테우스에게 불사의 몸을 양보하고 죽고 말았다. 이에 제우스가 케이론을 불쌍히 여겨 하늘에 올려 별자리로 삼았는데 이것이 궁수자리다. 또한, 케이론이 아르고호를 타고 황금 양피를 찾으러 떠났던 제자들을 안내하기 위해 자신의 모습을 별자리로 만들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궁수 자리를 들여다 보면 은하계의 중심이 보인다

궁수 자리.

궁수 자리 주요 구성 별.

 

 

궁수 자리에 은하계의 중심이 있다.

은하계 중심부에는 별과 가스가 밀집되어 있어서,

강한 전파와 적외선, X선 천체도 많다.

또한 가스 성운과 산개 성운이 발견된다.

메시에 목록 104개중 15개가 궁수자리에 있다.

 

산개성단 M18, M21, M23, M24

M21(NGC6531)은 삼렬성운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산개성단으로,

쌍안경이나 망원경으로 보면 쉽게 찾을 수 있다.

M23(NGC6494)도 쌍안경으로 관측할 수 있는 커다란 산개성단으로 약 100개의 별이 모여있다.

M24는 '활잡이 작은 성운'이라고 불리며, 하나의 성단이 아니라 은하수의 일부분이다.

감마(γ)별 서쪽에 있는 우리 은하의 중심 부분을 일명 "활잡이 성운"이라 부른다.

M24의 중심에는 산개성단 NGC6603이 있는데,

이를 관측하기 위해서는 200mm이상의 망원경이 필요하다.

M18(NGC6613)은 별로 볼 것이 없는 천체이다.

 

구상성단 M22, M28, M55, M69, M70, M75

M22(NGC6656)는 반달 정도의 크기로 쌍안경으로 관측하기 좋은 구상성단이다.

작은 망원경으로는 타원 모양의 성운처럼 보이며,

100mm이상의 망원경으로 봐야 별들을 구별할 수 있다.

M75(NGC6681)는 별들이 빽빽히 모여 있어 찾기 쉬우나 중심의 별들을 구분하기는 힘들다.

 M28(NGC6626), M55(NGC6809), M69(NGC6637), M70(Ngc6681)는

작은 망원경으로는 관측하기 힘든 구상성단들이다.

 

M22. <출처: (CC)Hewholooks at Wikipedia.org>

M75. <출처: (CC)Friendlystar at Wikipedia.org>

 

 

성운 M8, M17, M20

석호 성운이라고 잘 알려진 M8(NGC6523)은 맨눈으로도 희미하게 볼 수 있으며,

쌍안경이나 작은 망원경으로 보면 내부에 NGC6530이라는 산개성단을 관측할 수 있다.

이 성운의 가운데를 암흑성운이 가로지르고 있으나,

100mm이상의 망원경으로 보아야 확인할 수 있다.

 

M17(NGC6618)은 모양이 그리스 문자인 Ω와 비슷한 오메가 성운 또는 말굽 성운, 고니 성운이라고 불린다. 쌍안경이나 작은 망원경으로 보면 혜성의 꼬리처럼 길고 뿌옇게 보인다.

삼렬 성운이라 불리는 M20(NGC6514)은

암흑 가스 구름이 멀리 발광성운을 셋으로 가르고 있는 모습에서 얻어진 별명으로

통상 삼렬 성운으로 통하나, 작은 망원경으로는 그 멋진 모습을 보기 어렵다.

 

석호 성운이라 불리는 M8. <출처: (CC)Hewholooks at Wikipedia.org>

삼렬 성운은 암흑 가스 구름이 멀리 발광성운을 셋으로 가르고 있는 모습에서 얻어진 별명이다. <출처: (CC)Hewholooks at Wikipedia.org>